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
[신년기획/웹 3.0⑤] a16z부터 해시드까지…VC들은 왜 웹 3.0에 투자할까?4월 NHN클라우드 신설 예정 국내 클라우드 기업 최초로 오픈인프라재단 가입하기도 현대산업·KB등 고객사 확보 올 매출 2배이상 확대 목표 |
기사링크 | [신년기획/웹 3.0⑤] a16z부터 해시드까지…VC들은 왜 웹 3.0에 투자할까? : 네이버 뉴스 (naver.com) |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선정 및 복사하기 (3분) |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블록체인 분야 벤처캐피탈(VC)인 갤럭시 디지털이 지난 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상자산‧블록체인 스타트업에 들어간 VC 자금은 330억달러(39조4185억원)로 역대 최대다. 갤럭시 디지털은 VC 투자금을 분야 별로 분류하고 웹 3.0과 탈중앙화자율조직(DAO),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메타버스를 한 분야로 묶었다. 해당 분야에 투자된 금액은 전체 자금의 17%에 달한다. NFT가 웹 3.0 프로젝트들의 콘텐츠이고, DAO가 웹 3.0 프로젝트들의 조직 형태임을 고려하면 웹 3.0 분야 스타트업에 상당 자금이 들어갔다는 얘기다. 웹 3.0이 올해 가상자산‧블록체인 분야 주요 화두인 만큼 해당 분야에 들어가는 자금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해 가상자산,블록체인 스타트업에 투자된 VC 자금 중 17%가 웹 3.0/NFT/DAO/메타버스 분야에 들어갔다./출처=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리서치 ◆“사용자, 더 나은 인터넷 누려야” 웹 3.0에 주목하는 VC들 그렇다면 VC들은 왜 웹 3.0 분야에 주목할까? 웹 3.0에 가장 적극적인 VC는 앤드리슨호로위츠(a16z)다. a16z는 웹 3.0 전담 조직을 꾸리고 관련 프로젝트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a16z는 전담 조직 설립 배경을 밝히는 글에서 “우리는 더 나은 인터넷을 누릴 자격이 있다”며 “사람들은 자신의 디지털 라이프를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한다. 그 해결책은 웹 3.0”이라고 설명했다. 크리스 딕슨 (Chris Dixon) a16z 파트너는 ‘왜 웹 3.0이 중요한가(Why web3 matters)’ 글을 통해 웹 3.0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는 웹 2.0과 비교했을 때 웹 3.0의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딕슨 파트너는 “웹 2.0 시대는 중앙화된 서비스로 이뤄졌다.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가치는 구글,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같은 대기업에 귀속됐다”며 중앙화된 서비스들이 어떤 사이클을 갖고 있는지 설명했다. 딕슨에 따르면 구글, 페이스북 같은 중앙화 서비스들은 초반에 사용자와 크리에이터, 개발자, 기업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마케팅을 활발하게 한다. 네트워크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함이다. 이후 해당 서비스들은 전형적인 ‘S커브’를 그리게 된다. S커브는 기업이 ‘성장세-가파른 성장세-성장정체’ 단계를 거치며 진화한다는 개념이다. 네트워크 효과가 나타나면서 빠르게 늘던 사용자 수는 정체기에 진입하고,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해 기업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빼내야만 한다고 딕슨 파트너는 설명했다. 이와 달리 웹 3.0 기반의 탈중앙화 서비스들은 사용자들이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가치의 일부분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한다. 소유의 매개체는 토큰이다. 일반 가상자산과 NFT 모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탈중앙화 거래소(DEX) 유니스왑은 거버넌스토큰을 발행한 후 토큰의 15%를 초기 사용자에게 지급했다. 딕슨 파트너는 해당 사례를 예로 들며 “이런 인센티브 지급 모델은 웹 3.0 업계에서 매우 흔하다”고 강조했다. 웹 3.0 기반 서비스들은 사용자에게 가치를 어느 정도 돌려준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토큰은 서비스 참여자들이 네트워크 확장과 토큰 가치 향상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노력하게끔 한다”며 “서비스의 가치가 기업에게 귀속되고, 기업이 오히려 사용자와 싸워야만 했던 중앙화 서비스들의 문제를 해결한다”고 밝혔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빼내 서비스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가치를 창출하도록 하고 그 가치를 사용자와 배분함으로써 성장한다는 얘기다. 다른 블록체인 업계 VC들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는 추세다. 국내 블록체인 VC이자 아시아 최대 크립토펀드인 해시드도 지난 3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김서준 해시드 최고경영자(CEO)는 “2022년은 웹 3.0의 새로운 시대가 될 것”이라며 “오픈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하는 탈중앙화된 조직들이 중앙화된 조직들보다 훨씬 더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성호 해시드 파트너도 “웹 3.0 프로젝트들이 대규모 거래량을 처리하기 위해 더 나은 인프라를 갖추게 되면서 다른 기업들도 웹 3.0 인프라를 채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사용자에게 가치 배분? VC가 다 가져간다” 비판도 웹 3.0 프로젝트들의 이익이 대부분 VC에게 돌아감을 지적한 트윗. 이처럼 VC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웹 3.0 기반 서비스들도 성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웹 3.0 서비스의 핵심은 사용자들에게 가치를 배분하는 것인데, 그 가치가 대부분 VC들에게 돌아간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지적은 지난달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가 웹 3.0을 비판하는 트윗을 올리며 이슈화됐다. 잭 도시 창업자는 “VC들이 웹 3.0을 소유하고 있다”며 웹 3.0 프로젝트들도 결국 지분 투자한 VC들 때문에 중앙화된 성격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개인 사용자의 주권을 내세운 프로젝트들도 VC들의 투자를 받아야 사업을 제대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VC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돌아갈 것이란 얘기다. 반면 웹 2.0 서비스인 트위터로 큰 돈을 번 잭 도시 창업자가 이 같은 비판을 하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반박도 나왔다. 트위터를 비롯한 웹 2.0 서비스들은 사용자들에게 가치를 돌려주지 않는 만큼, 조금이라도 돌려주는 웹 3.0 서비스들이 낫다는 주장이다. 해당 서비스들이 발행한 토큰 대부분이 VC들에게 가더라도, 사용자들에게 일부분이라도 간다면 그것 역시 ‘가치 배분’이라는 얘기다. 트위터에선 자신이 실제로 돈을 번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나 서비스를 공유하며 잭 도시에 반박하는 물결이 일기도 했다. |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
단순히 기사를 읽는 것이 아닌, 희망직무와 관련된 사업의 방향성 /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생각하며 읽어보세요! 추가적으로 추가조사 포인트를 위한 키워드를 잡으시면 더 좋아요! VC 투자금을 분야 별로 분류하고 웹 3.0과 탈중앙화자율조직(DAO), 대체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이하 NFT), 메타버스를 한 분야로 묶었다. 해당 분야에 투자된 금액은 전체 자금의 17%에 달한다. 우리는 더 나은 인터넷을 누릴 자격이 있다”며 “사람들은 자신의 디지털 라이프를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한다. 웹 3.0 기반의 탈중앙화 서비스들은 사용자들이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가치의 일부분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한다. 소유의 매개체는 토큰이다. 일반 가상자산과 NFT 모두 해당한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빼내 서비스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가치를 창출하도록 하고 그 가치를 사용자와 배분함으로써 성장한다는 얘기다 웹 3.0 프로젝트들이 대규모 거래량을 처리하기 위해 더 나은 인프라를 갖추게 되면서 다른 기업들도 웹 3.0 인프라를 채택할 수밖에 없을 것 |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위에서 잡은 추가조사 키워드 하나만을 조사해보세요 (15분) 탈중앙화된 자율조직(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 완전 자동화된 기업(Fully Automated Business entity: FAB), 또는 분산된 자율 회사(Distributed Autonomous Corporation/Company: DAC) : 약한 인공지능을 가지고 있는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이다. 이것은 생산기능을 최대화하며 그 작업을 계산 가능한 상호작용 작업으로 분할한다. 또 이것은 작업들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1][2]. 이러한 조직은 인간이 개입할 수 없는 비지니스 규칙하에서 운영되는 회사의 형태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비지니스 규칙은 주주들의 컴퓨터상에 배포되는 검증가능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된다. 사람은 이 회사의 주식을 구매하므로써 주주가 되거나 회사에 서비스를 공급해 그 주식을 획득할 수 있다. 이 주식은 그 소유주가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이익을 공유하는 자격을 나타낸다. [3]
|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
스크랩한 기사를 요약한 후 자신만의 의견을 정리해보세요 (5분) 의견 내용 예시 : 웹3.0 은 가치를 사용자와 배분하며 성장한다. 마냥 비판적으로 바라볼 것은 아닌 것 같다. 주제 설명
|
적용할점 (현직자에게 할 질문) |
현직자에게 기사로는 알 수 없는 궁금점 질문 뽑아내기 (5분) |
연관기사 링크 | NFT가 도대체 뭐야? - MIT Technology Review |
'취미가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_네이버, UX전문가 김재엽 교수 영입…“검색경험 향상” (0) | 2022.04.17 |
---|---|
경제신문스크랩_새해 메타버스 기업 M&A 사례 늘어날 것 (0) | 2022.04.17 |
경제신문스크랩_'윤석열 시대' 수혜주로 급부상하는 카카오·네이버...왜? (0) | 2022.04.17 |
경제신문스크랩_프렌즈게임즈, 우상준 신임 공동 대표 선임…NFT 사업 박차 (0) | 2022.04.17 |
경제신문스크랩_카페24재팬, ‘아마존페이’ 연동으로 일본 플랫폼 강화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