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토리텔링 효과
스토리텔링 기법은 특정 대상에 대한 스토리(Story, 이야기) 창출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적 반응을 이끌어 내고이에대한몰입, 이해, 판단, 기억을높이는방법 이다.
좋은 스토리텔링은 고객이 마치 자기가 겪은 이 야기인 것처럼 사건이나 대상을 경험하게 만든다. 말 하기,글,시각자료등듣는사람이사건을경험할수 있게 해주는 도구라면 무엇이든 스토리텔링의 방법이 된다.(Lidwell, Holden, & Butler, 2010, p.230)
데이터 같은 객관적 정보를 읽으면 뇌의 언어영역만 활성화되지만 스토리를 읽으면 언어 영역뿐만아니라그스토리의내용을직접겪는다면 활성화될 두뇌 영역들도 함께 활성화된다고 한다. 기업의 마케팅에서도 소비자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법이 자주 활용된다.
토스 - 키워봐요 적금
적금을 꼬박꼬박 넣으면 나만의 동물을 키울 수 있는 게임 요소가 있음
키워봐요 적금 캐릭터 화면
공식적인 이유 : “긴 시간 인내하며 목돈을 만들어가는 경험을 보다 즐거운 금융경험으로 바꿔보고자 귀여운 동물을 돈과 함께 키운다는 콘셉트를 적금 상품에 적용하게 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캐릭터를 키우고 있다.” 라고 인식하게됨
효과
- 사용자를 디자인에 몰입시킴
- 돈을 넣을 때마다 알 > 거북이 > ?? 와 같이 예측불가한 캐릭터가 진화하기때문에 다른 적금 상품과 달리 해당 서비스에 몰입하게 됨
- 의도된 특정 반응을 유발해 냄
- 귀여운 캐릭터가 나오면 SNS나 지인들과 공유 가능 → SNS 공유로 인한 입소문을 통해 토스에 적금 서비스가 있다는 것이 자연스럽게 홍보됨 → 마케팅 효과
- ‘동물이 알에서 깨어났습니다.’ 등 캐릭터의 상태를 알리는 알림을 보내 사용자가 알림을 클릭할 확률을 높임 → 앱접속량 상승 가능
- 브랜드 충성도 향상
- 다른 금융서비스에서는 볼 수 없는 귀여운 캐릭터와 디자인, 각 동물 마다 짧은 스토리가 있음 → 재미요소가 많음. 딱딱한 타 금융서비스와 차별화된 이미지 → 브랜드 충성도 향상
2. 후광효과
후광효과는 어떤 대상(예: 사람, 브랜드, 회사, 제품 등)에 대해 한 면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면 이긍정적경향이그대상의다른면에대한평가에도 영향을미쳐다른면도긍정적으로평가하게되는인 지 편향을 일컫는다.
후광효과는 마케팅에서 자주 활용된다. 어떤 기업의 특정 제품에 대한 경험이 긍정적이어서 좋은 평가를 하게되면그기업의다른제품에대해서도긍정적평 가를하게되는경향이있다.여러브랜드들을지닌 대형 기업이 가장 성공적인 브랜드의 플래그십 스토어 를 운영하는 것도 후광효과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토스 이벤트
토스는 위와같은 홍보성 이벤트를 자주 함
상기 화면은 닉네임과 성격 이모지를 입력하면 응원카드를 제공하는 이벤트임
고객을 응원하고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긍적적인 응원글을 제공함. 이는 소비자에게 토스가 딱딱한 금융서비스가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하고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게함
3. 앵커링 효과&시작점 효과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는 처음 접한 정보 에 가장 크게 무게를 두게 되는 인지적 편향을 일컫는 다. 즉, 배가 앵커(닻, anchor)를 내리면 닻의 밧줄 길 이 범위 내에서만 배가 움직일 수 있듯이 첫인상의 정 보가 기준점이 되어 그 후에 접하는 정보의 판단에 영 향을 미치는 것이다.(Naver Encyclopedia, 2019)
시작점(Entry Point)이란 디자인에서 처음 주의를 집중하게 되는 지점을 말한다. 시간적 연속성을 두고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 디자인에서 특히 시작점 디자인 이 중요한데 이것은 디자인에 대한 첫인상이 뒤에 이 어지는 디자인 요소들에 대한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 기 때문이다.
즉, 시작점은 그 디자인에 대한 평가에서 앵커(닻, anchor)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작점이 잘못 디자인되면 그 이후 접하는 디자인 요 소들과의 추가적인 상호작용에 악영향을 끼친다.
인크루트 - 스플래시 화면
기존 스플래시 화면의 경우 짧은 순간이지만 자세히 보면 ‘2014~2018년 대학생 브랜드 선호도 1위’(예전 정보) 라는 정보를 그대로 노출함 → 업뎃을 자주 안하는 서비스라는 인식이 생기게됨 → 이후에 접하는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
희망적인 메시지 노출로 이전보다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음
4. 심미적 사용성 효과 & 매력의 편향
인스타그램 릴스
LINE VOOM
인스타그램 릴스
같은 숏폼 플랫폼이지만 좌측의 LINE VOOM의 경우 영상의 세로 길이가 짧고 상단의 공간이 광고영역으로 채워져있어 계속 보고싶은 UI는 아닌 것으로 보임
우측의 인스타릴스의 경우 세로 길이가 길어 넓은 화면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눈의 피로도가 줄어듦 → 영상을 계속 이어서 보는데에 무리가 없어 체류시간이 확대 될 수 있음
'기획 정보 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가지 UX 심리학 법칙과 사례 - 4. 확증편향 (0) | 2022.10.23 |
---|---|
40가지 UX 심리학 법칙과 사례 - 3. 게슈탈트 이론 (0) | 2022.10.19 |
40가지 UX 심리학 법칙과 사례 - 2 (0) | 2022.10.09 |
그로스 해킹 스터디 (0) | 2022.08.05 |
서비스 지표 정리 (0) | 2022.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