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
구글, '검색 주제 세분화' 기능 도입 |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275818?sid=105 |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선정 및 복사하기 (3분) |
원하는 키워드 입력 시 자동으로 추가 검색 가능
구글은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때, 관련 키워드를 자동으로 분석해 세분화하는 기능을 도입한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동영상, 뉴스, 이미지, 쇼핑 탭 외 검색창 상단에 결괏값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회사는 블로그를 통해 이 내용을 공유하면서, “검색한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가령 구글 검색창에 ‘저녁 식사’를 검색하면, 탭에 ‘건강’ ‘채식’ ‘신속한 (조리)’ 등 항목이 차례로 나오는데 단어를 누르면 ‘건강한 저녁 식사’와 채식 관련 결과가 나오는 형태다. 해당 기능은 안드로이드, iOS에 이어 웹에서 미국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출시 예정이다. 구글은 “검색 주제와 필터 모두 특정 쿼리(질의)에 가장 유용한 방식으로 내용을 표시한다”며 “원하는 항목이 보이지 않으면, 필터 옵션을 조정해 더 많은 주제를 접할 수 있다”고 했다. |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
위에서 잡은 추가조사 키워드 하나만을 조사해보세요 (15분) ![]() 왜 '검색 주제 세분화' 를 도입했을까? 연속적으로 검색해서 조금 더 원하는 정보를 얻게하기 위함일까? 라고 생각하던 찰나 ![]() 네이버의 연관 검색어가 떠올랐다. 네이버가 연관 검색어를 도입할때도 비슷한 고민을 하지 않았을까? |
요약 및 의견 for 경제신문스크랩 스터디용 |
연관검색어를 통해 보다 구체화된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뭐라고 검색해야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을지 몰라서 난감한 적이 있으셨나요?
검색을 하다보면 이러한 상황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검색 서비스 내에는 다양한 질의 추천 서비스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연관검색어, 검색창 내 자동완성 등이 그 예시 인데요. 연관검색어는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함께 추가로 궁금해할 수 있는 키워드를 제안하고, 자동완성은 이용자의 타이핑 수고를 줄여 주기 위한 기능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이 검색 과정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유용한 질의를 추천해주도록 하기 위해 네이버 검색은 많은 고민과 시도를 해오고 있습니다. 이 중 연관검색어에 대해 질의 추천 로직을 개선할 예정입니다.
연관검색어는 검색이 완료된 후 검색결과 내에서 추가로 궁금해 할 만한 질의를 추천해줍니다. 이 질의를 통해 이용자들이 현재 검색결과에서 만족하지 못했거나 더 확인하고 싶은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해당 질의를 검색한 후 이어진 다른 검색 활동을 토대로 다양한 키워드를 제안해 왔으나 앞으로는 검색 의도와 연관된 구체적인 질의를 제시하여 이용자들이 재검색 시 보다 자세한 정보를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칠레'를 검색하면 기존에는 '페루',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다른 국가명이 연관검색어로 노출되었으나 앞으로는 '칠레 수도', '칠레 시간', '칠레 여행 ' 등과 같이 검색한 질의와 관련하여 검색의도를 세분화한 질의를 제공합니다.
'MZ세대'를 검색하면 MZ세대와 관련된 특징, 트렌드 등에 대한 질의를 통해 구체적인 정보를 검색해볼 수 있습니다.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포함된 여러 가지 검색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연관검색어 외에도 '함께 찾은 쇼핑검색어', '인기주제 둘러보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오 역시.. 추가로 궁금해할 만한 질의를 추천해서 검색결과에서 더 확인하고 싶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연관 검색어를 도입했었다. 그런데 구글에 연관검색어가 없었다니! 왜 몰랐지? 아무래도 구글은 네이버보다 검색 범위가 넓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크게 인지하지 못했었나 싶다. 생각해보면 구글에서 검색할때는 검색 결과 양은 많은데 원하는 정보가 안나올때, 그 정보를 찾을 때까지 페이지를 뒤로 넘기면서 훑는 시간이 많았다. 이런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구글도 검색 주제 세분화 기능을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에서는 페이지를 뒤로 넘기기 보다는 연관검색어를 통해서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고 쉽게 앞단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았다.) |
관련 링크 | https://blog.naver.com/naver_search/222549957833 |
'취미가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청각장애인 위한 디지털휴먼 수어 안내 도입 (0) | 2023.03.04 |
---|---|
경신스_“연봉 1억 이상 인증하고 보시오”…경력직 채용 플랫폼 뜬다 (2) | 2023.01.06 |
네이버, 삼성전자와 ‘초거대 AI’ 맞춤형 반도체 만든다_경신스 (0) | 2022.12.06 |
경신스_네이버, 패션상품 한 곳에 싹 모은다 (0) | 2022.10.12 |
경신스_운동하고 음악 들으며 돈 번다...'앱테크의 진화'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