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가 경제신문스크랩

서울 소방, '재난 대응'에 AI·빅데이터 활용 나선다

wehasu 2022. 5. 22. 12:56
헤드라인
(요약과 압축)
A1-A30면 읽기(5분)

서울 소방, '재난 대응'에 AI·빅데이터 활용 나선다

 
기사링크(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25022
본문
(본문 내용 복사)
기사선정 및 복사하기 (3분)
[디지털데일리 신제인 기자] 인공지능 기술은 우리 삶에 필수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이제는 생명,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영역에도 인공지능이 들어선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빅데이터·AI를 활용한 재난대응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재난대응 디지털 플랫폼은 서울소방이 보유한 다양한 행정정보를 통합·관리하게 된다. 119 신고부터 현장대응 단계까지 첨단화된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안에 우선 119출동 및 각종 소방행정 정보를 관리하는 서울119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요양병원과 같은 재난취약시설의 실내구조를 3D 입체지도로 만들어 119현장대원들이 인명구조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재난대응 디지털 플랫폼 구축을 본격화해 분산돼 있는 현장대응시스템을 하나로 통합·관리할 계획이다. 동시에 지역별 재난취약 시간대를 분석해 예방순찰 경로를 안내하는 알고리즘도 개발한다. 
 
이어 2026년까지 ▲AI챗봇을 활용한 소방행정 서비스 ▲빅데이터 기반 AI 지능형 119 신고·접수 시스템 ▲신고·접수 및 소셜데이터 기반 재난대응 예측 AI 시스템 등을 순차적으로 개발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소방본부는 지난 4월 서울소방 정보화 중장기 5개년 계획을 수립했다. 계획은 구체적으로 ▲스마트 도시안전기반 구축 ▲지능형 재난대응체계 구축 ▲비대면 소방안전 서비스 활성화 ▲스마트 소방행정 서비스 실현 등으로 구성된다.
 
최태영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서울의 도시 구조는 고층화·지하화로 인해 재난 발생 시 피해 범위 등을 예측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AI와 빅데이터 관리를 적용한 재난대응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해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응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5분)
단순히 기사를 읽는 것이 아닌,
희망직무와 관련된 사업의 방향성 /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생각하며 읽어보세요! 

추가적으로 추가조사 포인트를 위한 키워드를 잡으시면 더 좋아요! 
추가조사할
내용 또는결과
(기사의 근거를 통해 바뀐 수치는 무엇인가?)
위에서 잡은 추가조사 키워드 하나만을 조사해보세요 (15분)

*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재난대응시스템

 디지털 트윈기반 재난관리플랫폼 구축은 공간형상 및 공간정보만 달리하면 다른 건축물 및 사업장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 건물의 관제제어시스템이나 사업장의 생산관리, 공정시스템과도 연동 가능하므로 그 활용대상 및 범위는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건축물 안전관리, 재난관리 등의 중요성 증가와 건축물의 인텔리젼트화 및 IOT 기술 확대 적용 등 공간정보 환경의 변화로 인해 디지털 트윈 기반 재난관리체계의 도입은 더 앞당겨질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트윈 재난관리체계가 보편화되면 현재의 개별 건물, 사업장 단위에서 건물과 건물간, 지역과 지역, 나아가 국가단위로 확장되어 더 많은 정보생성 및 공유 및 시스템 연동 통한 지역재난안전체계 구축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 이영주(2021),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재난대응시스템 구축」, 『삼성EHS전략연구소』https://www.greensamsung.com/resources/pdf/insights/20211206181426_210830_%EA%B8%B0%EA%B3%A0_%EB%94%94%EC%A7%80%ED%84%B8%ED%8A%B8%EC%9C%88%EC%9D%84_%ED%99%9C%EC%9A%A9%ED%95%9C_%EC%9E%AC%EB%82%9C%EB%8C%80%EC%9D%91%EC%8B%9C%EC%8A%A4%ED%85%9C_%EA%B5%AC%EC%B6%95_%EC%8B%9C%EB%A6%BD%EB%8C%80_%EC%9D%B4%EC%98%81%EC%A3%BC_%EA%B5%90%EC%88%98.pdf




요약 및 의견


  • 주제 : 서울소방의 재난 대응 디지털 플랫폼 구축
  • 현안 : 요양병원과 같은 재난취약시설의 실내구조를 3D 입체지도로 만듦, 현장대응시스템을 하나로 통합·관리할 계획, 동시에 지역별 재난취약 시간대를 분석해 예방순찰 경로를 안내하는 알고리즘 구축 예정
  • 제도, 사업의 장점, 단점 등 정리 
    기술을 유의미하게 활용한 사례로 보인다. 구축만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 높게 구현해야할 것 같다.